노안·백내장 비교
노안이란?
나이가 들면서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의 탄성이 떨어지게 되고, 이로 인해 가까운 곳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데 이를 노안이라 합니다.
대체로 40대가 되면 눈의 조절력이 20대의 절반 이하로 떨어집니다.
-
수정체 수축으로 근거리가 잘 보이는
정상안
-
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져 근거리가 흐린
노안
백내장이란?
백내장이란 눈 안의 수정체가 뿌옇고 혼탁해지는 질환입니다.
눈에 들어간 빛이 망막에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아, 안개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게 보이고 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백내장이라고 합니다.
-
수정체가 혼탁되지 않아 잘 보이는
정상안
-
수정체가 혼탁되어 흐릿하고 변색되어보이는
백내장안
백내장이란?
-
1단계 초기
수정체 주변의 혼탁 증상 없음
-
2단계 미숙
밤에 더 잘 보이는 주맹현상과
답답하고 이물감이 느껴짐 -
3단계 성숙
빠른 시력 저하와
안개가 낀 것처럼 흐릿함 -
4단계 과숙
원거리 시력장애가 오며
단백질 괴사로 합병증 발생
백내장 진행
시력 감퇴
복시
주맹
변색
일시적 근시

시력 감퇴
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게 흐려 보이고, 침침해집니다.

복시
한쪽 눈으로만 보아도 사물이 2중, 3중으로 겹쳐 보입니다.

주맹
밝은 곳보다 어두운 곳에서 오히려 더 잘 보이고, 낮에 눈을 자주 찡그리게 되며 빛을 보면 눈이 시립니다.

변색
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게 흐려 보이고, 침침해집니다. 시력저하와 동반하여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조기에 자각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.

근시
평소 돋보기를 사용하였으나 돋보기 없이 가까운 사물이 잘 보입니다. 시간이 지날수록 가까운 곳과 먼 곳 모두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.
백내장의 원인
백내장 중 가장 많은 비율은 노화가 원인인 노인성 백내장입니다.
노인성 백내장은 60대의 70%, 70대의 90%, 80세 이상은 거의 100%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
이 외에도 유전, 눈의 외상, 아토피성 피부염, 당뇨병, 영양실조, 방사선, 약물, 안질환 등 원인에 의해 젊은 세대에도 백내장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
선천성 백내장 | 후천성 백내장 | ||
---|---|---|---|
선천성 백내장 |
유전 염색체 이상(다운증후군 등) 선천성 대사장애 산모의 약물 복용 태내 감염(풍진 등) |
후천성 백내장 |
노화(노인성 백내장) 눈의 외상 당뇨병 약물(스테로이드제, 항우울제) 안질환(포도막염, 망막이영양증 등) 자외선 , X선 영양 결핍 |
백내장 자가진단
아래 항목을 읽고 해당하는 항목에 체크해보세요.
-
휴대전화 버튼이나,
문자메시지를
맨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-
먼 곳과 가까운 곳을
교대로 볼 때
초점 전환이 늦어진다 -
평소 독서 시
빨리 잠이 온다 -
평소 근거리 작업 시
두통이 나타난다 -
세밀한 작업을 하다가
실수하는 경우가 많다 -
안개가 낀 것처럼
눈앞이 뿌옇게
변해 눈을 자주 비빈다 -
나이에 비해 미간과
이마 주름이 심하다 -
환한 곳보다 어두운 곳에
흐릿해 보이는
증상이 더 심하다
위 항목 중 3가지 이상에 해당될 경우는 백내장이 의심되므로, 백내장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후발성 백내장
백내장 수술 후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수정체낭이 다시 혼탁해지면서 시력이 저하되는 현상
모든 백내장 수술 후에 시간이 경과하면 발생할 수 있으며 레이저를 이용하여
다시 혼탁해진 수정체낭을 절개하면 바로 시력이 회복되며 완치됩니다.
01 후발성 백내장의 발병 시기 및 증상백내장 수술 후 평균 3~4년 이내에 10~20% 정도 발병합니다. 개인에 따라 수술 후 3~4개월, 혹은 4년 이후에 발병하기도 합니다. 증상은 백내장 수술 전처럼 시야가 혼탁해지고 시력이 저하됩니다. |
02 후발성 백내장의 치료레이저로 혼탁해진 수정체 낭을 절개하여 치료합니다. |